못 말리는 부동산 사랑.. 10명 중 5명 이상 "새해에도 아파트값 오른다"

김노향 기자 2021. 12. 28. 06: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 '투자 DNA' 장착한 코로나 세대의 재테크 ③ - "이자부담 커져도 버틴다"

[편집자주]주식투자 인구 800만명 시대. 국내 경제활동인구(2853만명)의 28.0%가 재테크를 목적으로 주식투자를 하고 있다. 2020년 한 해 동안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 내집마련에 성공한 사람은 98만명이다. 재테크의 대표 수단으로 손꼽히는 주식과 부동산 투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머니S는 2021년 11월 22일부터 12월 6일까지 일반 투자자 4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재테크 트렌드를 분석하고 2022년 관련 시장을 전망해봤다.

부동산가격을 둘러싼 여러 환경과 조건이 바뀌었다. 이 같은 흐름은 2022년에도 가속화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기사 게재 순서
[1부] 기업인이 원하는 대통령… Z세대가 원하는 대통령
(1) 탈이념적 Z세대·실용주의 기업인 “우린 이런 대통령을 원한다”
(2) “이미지 정치는 이제 그만”… Z세대가 바라는 대통령은?
(3) “차기 대통령, 반기업정서 해소해달라”
[2부] ‘투자 DNA’ 장착한 코로나 세대의 재테크
(1) 카카오톡으로 ‘미국 주식’ 소수점 투자, 왜냐고요?
(2) 2022년, '주식'일까 '가상화폐'일까
(3) 못 말리는 부동산 사랑… 10명 중 5명 이상 “새해에도 아파트값 오른다”
주택임대차보호법(임대차3법) 시행과 기준금리 인상, 대출·세금 규제까지 부동산가격을 둘러싼 여러 환경과 조건이 바뀌었다. 이 같은 흐름은 2022년에도 가속화될 것이란 전망. 당·정은 1주택자의 보유세(종합부동산세·재산세) 부담 완화 방안을 검토하는 가운데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조치에 대해선 유지키로 가닥을 잡았다.
시중은행들의 금리 인상으로 주택담보대출 이자는 2021년 5%대를 넘어 2022년 6%대로 예상된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부동산가격은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무주택자의 내집마련, 은퇴자의 노후소득 등 일생일대의 투자이자 재테크인 부동산, 문을 두드려봐도 될까.



“서울 아파트값 오를 것”… 여전히 많은 응답


머니S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476명을 대상으로 ‘임인년 새해 가장 유망한 재테크 투자처’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36.1%(172명)가 ‘부동산’을 꼽았다. 부동산을 둘러싼 환경이 최근 몇 년 동안과 다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에도 여전히 많은 이들이 부동산을 일확천금의 기회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2년 서울 아파트값 전망’에 대해선 10% 이하 상승(134명·28.2%)과 10% 이상 상승(124명·26.1%) 등 절반이 넘는 54.3%(158명)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10% 이하 하락(70명·14.7%)과 10% 이상 하락(28명·5.9%) 등 하락을 예상한 응답은 20.6%(98명)에 그쳤다. 보합으로 예측한 응답자는 25.2%(120명)였다.

2021년 11월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KB국민은행 통계 기준 10억8000만원을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2021년 1월부터 12월 첫째 주까지 전국 아파트값은 12.3% 상승해 2019년 전체 상승률(5.6%)의 두 배를 넘었다. 2012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이기도 했다. 설문 응답자들은 2021년과 거의 유사한 수준의 상승률을 예상하고 있는 셈이기도 하다.

하지만 2021년 말 들어 서울 고가주택이 밀집한 강남·용산 등 주요 지역에선 집값을 낮춰 거래한 신고가 잇따라 신고됐다. 서초구의 ‘래미안 리더스원’은 84㎡(이하 전용면적) 실거래가가 2021년 8월 30억원(12층)에서 4개월 만인 12월 26억원(19층)으로 4억원이나 하락했다. 해당 단지는 2020년 9월 입주한 1317가구의 신축 대단지다. 용산구 이촌동 2036가구 대단지인 ‘건영한가람’ 아파트도 59㎡ 실거래가가 2021년 11월 17억8000만원(6층) 18억9000만원(15층)에 신고돼 불과 한 달 전 최고 19억원(10층·13층)에 신고된 것을 고려할 때 최대 1억2000만원이 하락했다.


원리금 얼마까지 낼 수 있나


부동산값 하락이 본격화된 것은 아니지만 과거 하우스푸어 사태 등의 경험을 통해 시스템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는 우려도 커진다. 설문 참여자들에게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로 내집마련을 했을 때 소득대비 원리금 비중을 어느 정도까지 부담할 수 있냐고 질문한 결과 응답자들은 ▲30%대 160명(33.6%) ▲20%대 108명(22.7%) ▲10% 이하 84명(17.6%) ▲50% 이상 70명(14.7%) ▲40%대 54명(11.3%) 등의 순으로 답했다. 응답자 85% 이상이 소득의 절반 이상을 주택 원리금으로 내기 부담스럽다고 느끼는 것이다.

현재 조정대상지역 이상, 9억원 이하 주택담보대출을 받았을 때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은 40%다. 이를 고려해 9억원 주택을 대출 최대한도로 산 차주가 20년 만기 분할상환으로 매달 내야 하는 원리금은 237만~238만원(연 5% 기준)이다. 2021년 중위소득이 월 487만원인 점을 고려할 때 소득의 절반에 달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차주의 이자 부담이 앞으로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가 맞물려 부동산 구매심리를 제약하고 있다”며 “주택 거래량을 감소시키고 자산 유동성 축소가 본격화돼 주택 매매가격 상승 속도가 둔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때 가계의 이자 부담과 채무상환 부담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자부담 커져도 버티겠다”


‘금리 상승으로 이자부담이 커질 경우 어떻게 대처하겠냐’라는 질문엔 ▲임대 전환해 유지 35.3%(168명) ▲추가대출을 받아 유지 25.6%(122명) 등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유지’를 선택했다. 이어 ▲이자부담이 낮은 부동산으로 갈아타기 20.6%(98명) ▲가족 간 증여 10.9%(52명) 등으로 조사됐고 ‘처분하겠다’는 응답은 7.6%(36명)였다.

‘투자자산 대비 부동산 비중은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엔 가장 많은 30.7%(146명)이 ‘50%대’라고 답했다. 이어 ▲30% 이하 116명(24.4%) ▲40%대 86명(18.1%) ▲60%대 72명(15.1%) ▲70% 이상 56명(11.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국내 시중은행 금리와 대출금리가 상승해 부동산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앞으로 거래 위축이 지속되고 대출을 받은 주택 매수자 입장에서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응답자들은 부동산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아파트를 대신하는 투자처로 대출이나 세금 규제가 상대적으로 낮은 오피스텔·생활숙박시설(34.0%·162명)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지방 대도시 아파트 26.9%(128명) ▲수도권 빌라 21.0%(100명) ▲상가 9.2%(44명) ▲리츠 8.8%(42명) 등의 순으로 답했다.

[머니S 주요뉴스]
"엄마 닮았네"… '두산家 며느리' 조수애, 아들 공개
"이렇게 예쁜 토끼라니"… 노제, 섹시한데 귀여워
"완벽한 옆태"… 치어리더 은퇴하더니 볼륨감 UP
"BTS 정국과 안 친하다"… 이유비, 열애설 부인
김병지 "골때녀, 주작은 아냐"… 배성재 '울먹'
시청자 등 돌렸나?… 설강화, 시청률 '바닥권'
고 김철민에 거액 치료비 전달한 김태균
임영웅, 모델 기럭지… 완전무장 겨울 캐주얼룩
이효리, MBC 방송연예대상서 유재석과 만날까?
태연, 청순한 매력… 크롭 카디건+데님팬츠 패션

김노향 기자 merry@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