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남기 "부동산 문제 송구.. 새 정부, 임대차3법 보완하면 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택공급 확대에 소홀한 적은 없다면서도 집값 안정을 이뤄내지 못한 부분에 대해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입장을 전했다.
━부동산세제, 차기정부 '몫'━부동산 세제와 관련해서는 "집은 사는 것(Buying)이 아닌 사는 곳(Living)이라는 관점에서 주택 거래 전 단계에 걸쳐 시장 안정을 위한 세제를 구축했다"며 특히 "양도소득세 중과 유예 종료 등 수요관리 패키지가 완성된 지난해 하반기 이후 투기적 매수동기 감소 등에 따라 안정화 흐름이 조성됐다"고 주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홍 부총리는 지난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1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오늘 회의가 사실상 마지막 부동산 관계장관회의가 될 것”이라면서 “그간의 부동산 정책을 종합 점검하자면 그동안 정부는 ‘공급확대+실수요 보호+투기억제’라는 3대 원칙 하에 부동산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해 왔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다만 “이 같은 노력에도 결과적으로 부동산시장 안정으로 연결하지 못한 점에 대해 다시 한 번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5년간 문재인 정부가 부동산 대책을 28번이나 내놨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종합 대책이라 할 수 있는 것은 그 절반 수준으로 나머지는 사실상 이미 발표된 대책의 후속 성격이었다”고 해명했다.
━
서민·실수요자에 대한 지원을 두고 그는 “내 집 마련 지원, 주거 안정성 강화 등을 위해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동원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동산 관련 법·제도 측면에서 권리보호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노력도 결코 소홀히 하지 않았다”며 “특히 임대차3법의 경우 긍정적 효과에도 신규 전세가격 불안 등 일부 문제도 제기돼 정책적 보완 노력을 기울인 바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차기 정부에서 임대차3법의 문제점을 추가 보완하고 제도 안착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신유진 기자 yujinS@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